금일(2012/07/05) 비행이론/항공기상 시험 후기
2012.07.05 13:53
오늘 아쉽게도 둘다 68점으로 떨어졌습니다. ㅠㅠ
정말 만만치 않네요.
비행이론, 항공기상 둘다 두번 연속 68점이네요. ㅠㅠ
기억나는대로 오늘 나온 문제 몇개 적어봅니다.
----------항공기상------------
저위도 에서 부는 바람?
1. 편서풍 2.편동풍 3. 무역풍.
답. 3번 인거 같네요.
강수 예보시 구름 두께는 최소?
1. 3,000ft 2. 4,000ft
답. 3,000 ft (이전 족보에서 본거 같은데요. 맞는지 모르겠네요.)
TS 생기기 위한 조건?
1. 고온, 다습, 안정된 lapse rate 2. 고온,다습, 불안정한 lapse rate
답: 불안정한 lapse rate가 정답 같습니다.
FL 310에서 기온이 표준온도 이하일때 TA와 PA의 관계?
1. TA, PA는 같다
2. TA는 FL310보다 높다
3. TA는 FL310보다 낮다.
4. TA는 PA보다 낮다.
>> 저는 4번으로 했는데 ,헷갈려서 아직 답 찾는 중입니다.
아시는 분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TA(진고도)는 표준대기상태의 PA(기압고도)
PA는 29.92inHg의 고도인데. 온도와의 상관관계는 문제네요
일교차에 대한 것 중 맞는 것?
1. 고위도 낮고, 저위도 높음
2. 바람이 셀수록 낮아짐
3. 비오는 날 적어짐.등.. (보기가 잘 생각이 안나네요)
답: 바람이 셀수록 낮아짐 으로 했어요.
850mb 기상차트의 용도?
1 강수량, 구름 등 예보
2. 바람, 기압등 예보 (이것도 보기가 잘 생각이 안나네요)
대부분의 기상현상이 발생하는 대기?
1. Troposphere 2.Tropopause 3. Thermosphere (보기가 다 영어로만 나옴, 하지만 쉬운 문제)
답: 대류권.
Mountain Wave의 생성과 관계 없는 것?
1. 산위의 안정된 대기 2. 불규칙한 표면을 흐르는 약한 바람. 3. 수직 바람성분 25노트 이상
답: 2번
사이클론 등 악기상이 생기는 전선?
정체전선(stationary front) 와 폐색전선(occluded front) 둘 중의 하나인거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다음중 저고도 구름은 어떤것인가?
보기는 기억안나지만.. 저위도: SSN+cts= Sc,St,Ns
중위도 카스(CAS)= As, Ac
정도를 공식처럼 알아두시면 될듯.
Severe Tubulence 기호고르는 쉬운 문제
고고도 기상도의 기호에 관한 문제
태풍기호(§) 와 FRQ가 들어있는 문제인데요. 틀린것 고르기
1. 태풍기호는 태풍명칭이 있을 시, 같이 표기한다.
2. FRQ는 75% 이하의 확률이다.
저는 2번으로 했는데, 찾아보니.. 고고도기상차트에서는 ISOL: 1/8옥타 이하 OCNL: 1/8~4/8 FRQ는 5/8~8/8 이네요. ㅠㅠ
Ceiling과 관계없는 것? (엄청 고민한 문제입니다.) ㅠㅠ
1. 5/8
2. 운량
3. 운종
4. 지면에서 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운량 계산한다
이런 지문인데요, 보기1번같이 달랑 "5/8" 만 써놓으니까..헷갈리더군요..
머, 하늘의 5/8이상을 덮는다..거나..이런것두 아니구.
또, 운종..지문에 딸랑. "운종"..만 써놓으니,, 헷갈리구요. 이것두, 운종과 관계있다,없다.
이렇게 써놓던지요. 전, 고민하다..1번으로 썼는데요. ㅠㅠ
답은 3,번 운종인거 같습니다.
그밖에 표준기온감율, 건조단열기온감율 등..기온감율에 관한 복잡한 문제도 있었습니다.
------------------ 비행 이론 -----------------------
온도가 올라가면 터빈엔진의 성능에는 어떤 영향?
1. 온도가 올라가서 엔진성능 저하
2. 성능은 무관하고 터빈온도 상승
네이버 검색결과 터빈엔진은 온도 상승 시 성능 저하..같습니다.
총 무게와 CG구하는 문제?
1,000kg 150inch 2,000kg 100inch, 1,000kg -50inch
쉬운 문제.
비행기가 착륙하면서 ground effect에진입할 시?
1. induced drag 증가, 항력 증가
2. induced drag 증가, 항력 감소
3. induced drag 감소, 항력 감소.
답. 3번
Tab의 종류.( Tab이 바람에 작동되면서 조종면을 작동하게 하는 탭은? 보기: 서보탭? 어렵게 나옵니다.)
같은 날개면적일때, 날개가 길면 어떤 현상?
wingtip vortex 가 어찌되나?, 전체 항력?, Lift 증가? 어렵네요 ㅠㅠ
유도항력 증가가 답 같은데요.
같은 속도일때 선회시 선회율 1/2시? 속도가 4배일 시? 등
항공기 무게가 무거워지면 Gliding speed?
1. 같다 2. 감소 3. 증가
연구해 본 결과, 속도는 증가, 단, 활공거리와 활공각은 동일..인듯
Spiral Slipstreal 효과중 틀린것?
1. 후류가 수직안정판 우측에 작용
2. 속도가 높을 수록 강한 효과.
3. 종축에 대하여 오른쪽 모멘트
4. 프롭 RPM 높을 수록 강한 효과
1번.답
지금은 더이상 기억 못하겠네요. 앞으로 생각나는것이 있음 추가 하겠습니다.
댓글 7
-
Fly_Sam
2012.07.05 15:35
-
kim선생
2012.07.06 19:12
레인지는 감소하지만 글라이드 스피드는 같은거 아닌가요? 무거워지면 그만큼 항속거리는 감소할 것이고 베스트 글라이드 스피드는 양항비 최대에서 얻어지므로 이것은 무게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제가 아는 한도에선 그렇습니다.)
-
Fly_Sam
2012.07.13 18:25
도서출판 청연의 항공역학책(조용욱,서욱 저)에서 631p, 632p를 보니, 결론은 이거네요.
- 무게가 무거워지면 속도증가, 가벼워지면 감소. 하지만, 활공거리와 활공각은 동일함.
-
Fly_Sam
2012.07.05 16:12
항공기상문제중,,
TS 생기기 위한 조건?
1. 고온, 다습, 안정된 lapse rate 2. 고온,다습, 불안정한 lapse rate
>> stable air 라 하면.. 안정된 lapse rate인지, 불안정한 lapse rate인지..
아시는 분, 리플좀 부탁드립니다.
-
Fly_Sam
2012.07.06 17:50
이런, 이게 이강희 항공기상 문제집 130페이지의 1번문제 네요.
ㅠㅠ 불안정한 기온감율이 정답입니다.
-
새내기
2012.07.06 11:09
수고하셨습니다..
-
Fly_Sam
2012.07.12 10:36
몇번 비행이론 시험을 보니, Tab종류 묻는 문제는 매번 빼먹지 않고 나오고 있습니다.
출제되는 문제의 중요한 포인트가 동작 방향을 묻는데, 조종면과 같은? 반대로?
이게 무척 헷갈리네요.
기존 삼국지자료와, 책과 서로 반대로 말하는 경우도 있구요.
예를 들어 문제 보기 중 틀린거 ...... Anti-Servo 탭은 조정면과 반대로 움직인다..(실제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이렇게 나오면 딱 걸려들기 쉽죠.
위키디피아에서 검색해서 나름 탭의 특성을 정리 해놔야 할거 같네요.
Trim Tab: 조종간의 힘을 0로 만듬.
Anti-Servo Tab: 같은방향 deploy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ntrol surface, making the movement of the control surface more difficult
and requires more force applied to the controls by the pilot.
(즉,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파워스티어링같이 조종면을 적당히 무겁게해준다는 뜻이네요)
Servo-Tab: 반대 방향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trol surface. effect of reducing the control force required by the pilot to move the controls.
(조종에 드는 힘이 경감된다.)
(조종면에 직접 연결)--> 위키디키아에는 일부 항공기에 조종사의 조종스틱에 직접 연결된다고 나와있습니다.
"some aircraft the servo tab is the only control that is connected to the pilot's stick or wheel."
실제 시험에는 "무슨무슨탭은 조종간에 직접 연결되어 어쩌구 저쩌구" 하고 출제됩니다.
-->밸런스탭과 안티서보탭은 조정면(control surface)에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거 같고요.
Balance Tab: 구글 위키디피아에 자세히 안나와서..아직 연구중입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51 | 비행이론 iPilot 자료(2011.5월~2013.1월) 정답보정 & 최근시험 올립니다 | 데이브 | 2013.03.29 | 173267 |
350 |
19.3.19 ATR 필기
![]() | Ssuny | 2019.03.22 | 132338 |
349 |
공중항법 필기자료
[1] ![]() | 박군 | 2018.08.22 | 31514 |
348 |
항공기상 필기자료
[2] ![]() | 박군 | 2018.08.22 | 24122 |
347 | CRITICAL DME, DME GAP [4] | PG11 | 2017.01.18 | 15254 |
346 |
항공법 기출 문제
[12] ![]() | 십자성 | 2011.06.30 | 12581 |
» | 금일(2012/07/05) 비행이론/항공기상 시험 후기 [7] | Fly_Sam | 2012.07.05 | 12181 |
344 |
공중항법 기출문제
[27] ![]() | 아이파일럿 | 2011.02.18 | 12123 |
343 |
비행이론 2013년 12월 문제 정리및 족보에서 틀린문제 정리
[2] ![]() | 붐무기 | 2014.01.17 | 12082 |
342 | ATR구술 [1] | 심슨 | 2003.10.07 | 11555 |
341 |
운송용 교통통신, 공중항법(10.31과 11.8일 자료입니다)
[1] ![]() | 김우성파파 | 2012.11.17 | 11187 |
340 | 운송용 필기후기 | enelm | 2018.04.26 | 10277 |
339 |
운송용 필기 후기(기상학, 비행이론)
![]() | 삐로트 | 2018.04.23 | 10064 |
338 |
'19년 11월 비행이론 후기입니다.
![]() | 시대기계 | 2019.12.04 | 9548 |
337 | 운송용 080611 | ... | 2008.06.12 | 9476 |
336 |
2011년 2월 교통통신 기출문제 모음...
[17] ![]() | 싸이테이션 | 2011.03.12 | 9349 |
335 | 2019년 4월 13일 기준 항공법 PDF 파일입니다. | 못말리는비행사 | 2019.04.13 | 9223 |
334 | 구술 족보 언급된 내용 중 정리 Tip 몇가지... [6] | 풍가이 | 2014.11.26 | 9171 |
333 | 비행이론... | 밀리터리파일럿 | 2012.10.23 | 9087 |
332 | 항공법 후기입니다 11월19일 | 하얀달 | 2019.11.19 | 9074 |
비행이론 중 비행기 무게가 무거워지면 Glide Speed 와 Max Range 변화 관련해서 ..
친한 기장님께 여쭤보니
무게가 무거워지면 --> Speed 증가, Range 감소. 라고 말씀하시네요.
답 아시는 분 리플 부탁드려요.
이문제가.. 지난주, 이번주 두번 연속 나왔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