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운송용 구술후기 올립니다.
2019.12.11 17:12
심사관님 자기소개 안하시고, 하라고도 안하셨습니다.
수치나 내용보다는 라인 O procedure 위주로 묻는다고 하시고 질문 하셨습니다.
후기들에 나온 비슷한 질문도 많았지만 아닌 질문도 많았습니다.
기억나는 질문과, 난해한 질문만 후기로 올립니다.
-
저시정 상황하에 ICN에서 TWR가 Taxi to Rwy 33L via A and A4 발부 시, 어떻게 택시 할 것인가?
-> 질문의 의도를 잘 모르겠어서, 주는대로 갑니다 했더니
-
혹시 사다리 모양의 holding point에
대해서 아는가?
-> 알고 있습니다. ILS Critical holding point로 알고 있습니다
-
그러면 저시정 상황하에서 이걸 지나갈 것인가?
-> 도의적으로는 confirm 하겠지만, ils
critical holding point에서 hold short 하라는 이야기가 없었으므로, 지시받은 내용상으론 통과하여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고 대답.
-
인천에서 ils critical holding point를
본적 있는가?
-> 본 적 없습니다. (차후 확인시 34쪽과
33L-33R 사이에만 있음)
-
만약 당신 말대로 critical holding
point까지만 택시하라고 하면 어떻게 관제사가 지시를 발부하나? 들어본 적 있는가?
-> 대답하지 못함
-
인천에서 이륙시 NADP절차는 어떤걸 사용하는가?
-> NADP 1 절차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15/16 사용시에도 그러한가?
-> NADP 2 써도 된다고 되어있으나, Bird activity나 절차상 복잡한
경우 NADP 1 사용할 수 있다고 되어있고 실제로 ATIS에
항상 Bird 언급이 있으므로 NADP 1 사용한다고 대답.
-
STOPWAY, CLEARWAY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하라.
-> 족보대로, 다만 clearway의
구체적인 수치를 원하셨습니다. 상향경사 1.25%, 공항
통제 하, 폭 최소 500ft, 길이 최소 250ft 이상이면서 최대 활주로 1/2 등등..
-
항공기의 연료에 대해 설명하라.
-> 법정 탑재연료 설명
-
이륙 후 SID타고 나갈 때 Climb via 로 받으면 어떤걸 지켜야 하는가,
그리고 고도 제한사항이 cancel될 경우 어떻게 지시발부하는가 ICAO와 FAA로 나누어 설명하라
-> 아는대로
-
Expedite climb을 받았을 때 해야하는
절차?
-> 속도를 줄입니다. 했더니
-
얼마나 줄이는가?
-> 제가 타는 항공기는 green dot 까지 줄입니다. 하고 대답
-> 차후 젭슨을 보니 Best rate로 올라가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이 대답을 원하신 듯
-
타고있는 기종이 무엇인가? 중국 운항 시 Meter단위 고도 받았을 때 절차?
-> 타고있는 기종 언급, 칵핏 내에 Meter
conversion table이 탑재되어 있어서 눈으로 보고 고도 set 한다고 대답.
-
RVSM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
-> FOM에 있는 내용대로 설명, 다만 ATC로부터
300ft 이상 오차가 발생하였다고 통보되었을 경우 이를 즉각 수정하여야 한다 하고 대답.
-
그러면 300ft 이내의 오차는 허용이 된다는
이야기냐?
-> 그런 의미로 이해하긴 어려울 것 같다, 규정을 이야기한 것이다 라고 대답.
-
VFR 시정치에 대해 설명
-> 공역별, A: 미적용, B등급부터
고도별 8000m, 구름 이격거리 등등..
(ft, meter등 단위 정확하게 요구하심)
-
그럼 공항에서의 VFR 시정치는?
-> 3마일에 1500ft
-
Holding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하라
-> 이때 잘 설명 하다가 헷깔려서 대답 잘 못했습니다. 속도 및 leg 길이 설명시 14000ft가 포함되는가 안포함되는가 했는데 대답
반대로 함. (14,000ft까지, 그리고 14000ft부터로 나뉨)
-
Mountainous area의 정의?
-> 대답못함 (10nm 이내 지형고도변화 3,000ft
이상)
-
정밀접근, 비정밀접근에 대해 설명하라?
-> 대답
-
그러면 이야기 한 것중에 LNAV는 비정밀접근이라고
했는데, LNAV/VNAV의 경우에도 비정밀 접근인가?
-> 비정밀 접근 맞음.
-
STAR를 통한 접근 중, Radar Vector를 통해 SPD/ALT restriction 있는
point로 direct 받으면, 해당 point에 있는 restriction들은
유효한가?
-> 잘 대답하지 못함, confirm 한다고만 대답
-
Descend to, Descend via에
대해 설명하라
-> 설명
-
그러면 pilot discretion 강하는
ICAO, FAA는 각각 어떻게 다른가?
-> 설명
-
STAR 접근 중 고도, 속도 제한 취소할 경우 관제사 발부 방식?
-> FAA : Descend and maintain, ICAO : Cancel ~~
-
Descend and maintain과 Descend to의 차이?
-> 대답못함.
-
Radar Vector시 무선통신 두절이 일어날
경우 절차?
-> 젭슨대로 하고, 다만 어떤 VHF가
안되는지, transmit, receive 어떤게 안되는지 모르므로 일단 Broadcast 하면서 접근한다고 대답.
- 접근 시작 시기는?
-> 법 상 명시되어 있는대로 ETA에 맞추어, 내지는
ETA 30분 이내 착륙 기타등등 설명
-
접근시 DH 이하로 강하할 수 있는 조건은?
-> 설명, 다만 light에 대해서만… 100ft 이하로는 red row side bar 등등
-
그러면 DH 이하로 내려갈 수 있는 조건 중, 확인해야할 light에 대해 설명하라
-> 대답 제대로 못함.
-
착륙시 Touch down zone은?
-> 활주로 시단으로부터 3,000ft 이내, 짧은경우
1/3 이내 접지로 회사 규정 있다고 설명.
-> 그리고 touch down zone marking은 500ft부터 시작된다고 설명
-
그러면 활주로 시단은 통과하였으나 touch down
zone marking 이전에 접지하면 안되는가?
-> 활주로 이내에 접지한다면 문제 없을 것이라 대답.
-
착륙 후 비상상황으로 인하여, 소방관이 탈출하라는
수신호를 아는가? 해보아라
-> 머리높이에서 오라는 형태로 손 까딱까딱.
-
젭슨 접근챠트를 보면 좌측에 PANS OPS 라고
써있는데 이건 무엇인가? 다른걸 보았는가?
-> ICAO 룰이라고 설명하고 TERPS 본적 있다
-
어디서 보았는가?
-> 김해 공항 챠트에서 본 적 있다.
-
그럼 일본의 경우에는 아무것도 안써있는데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 대답못함
-
일본은 ICAO룰을 따르는가 FAA 룰을 따르는가?
-> Altimeter를 쓰므로 FAA룰을 따르는거 같다고 잘못 대답
-> 젭슨 JAPAN difference에는 most
airport follow ICAO rules라고 되어있음.
-
Missed approach 시 요구되는 상승률?
-> 2.5%이상.
-
그러면 이 상승률을 어느 고도까지 지켜야 하는가?
-> 대답못함
-
실제 라인에서 기장들이 언급하지 않는가?
-> 기억 안난다고 대답.
-> 실제 인천 chart의 경우, 최소
상승률을 유지하여야 하는 고도가 명시되어 있으나, 자세히 보지 않아서 몰랐습니다.
생각보다 준비 많이 하고 가셔야 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