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5월 25일 운송용 구술 후기입니다.
2020.05.29 13:24
안녕하세요! 운송용 구술시험을 보고 왔습니다. 그동안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심사관님은 같이 비행을 하시는 사람이라고만 소개하셨습니다.
질문은 족보가 아닌 곳에서도 물으셔서 당황하기도 하였는데 답변이 부족하거나 틀린 것 같으면 다시 보충해보라고 하시거나 맞는 답변이 나오도록 유도질문 하셔서
좋았습니다.
답변할 때는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대답하라고 하십니다. 그래야 시간도 빨리 지나고 질문수도 적어지니까라고 하셨습니다^^;
다들 좋은 결과 있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1. 최근 비행 경험 : 90일 이내 이착륙 3회 뿐 아니라, 야간비행, 계기비행을 위한 경험까지 질문하십니다.
2. 항공기 성능에서 실링(상승한계)의 종류
: 절대상승한계(0 FPM), 실용상승한계(100 FPM), 운용상승한계(500 FPM)
3. STATIC PORT가 막혔을 때 고도계, 승강계, 속도계는 어떻게 지시하는가?
4. 관제공역(A~E 등급) 설명
: 공역 범위, 어느 공항이 해당되는지, 제공되는 ATS는 무엇인지 등을 답변하였습니다.
5. FG와 BR의 차이
6. CL, THRESHOLD L/T, REIL L/T 색깔, 설치간격, 약자에 대해 질문
7. ARP는 무엇의 약자이며 어디에 사용하는가?
: AIRPORT REFERENCE POINT, 공항의 기준점. 공항표고의 기준이 되는 점이라고 답변하였습니다.
8. CONTINGENCY FUEL?
9. 항공안전법상 VFR 비행시 실어야할 연료는?
10. ILS CATEGORY 별 최처치(DH 및 RVR) : FOM 혹은 항공안전법 아무거나 말해보라고 하셨습니다.
11. 운송용 항공기는 최소한 몇명의 조종사가 탑승해야 하는가?
: 2명
* 항공신체검사기준이나 승무/근무시간 기준에 1명 조종사에 대한 기준이 있어 1명도 괜찮은 것 아니냐고 말씀드렸는데 아니라고 하십니다.
2명이 조종해야 하는 것은 기본이라고 시행규칙 어디에 나와있는데 찾아보라고 하셔서 찾아본 결과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218조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1명의 조종사가 가능한 경우는 "소형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로서 가. 관광비행에 사용되는 헬리콥터, 나. 가목 이외에 5700KG 이하의 항공기"로 나
와 있습니다. 답은 2명이라고 간단하게 말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2. 기장의 보고의무 위반 시 처벌과 해당사항 3가지는?
- 처벌 : 벌금 5백만원 이하
- 가. 항공기에 사고, 준사고, 항공안전장애 발생 시 미보고
나. 다른 항공기 사고, 준사고, 항공안전장애 발생을 알고도 미보고
다. "운항 준비가 끝난 것을 확인 후 출발시켜야 한다."를 위반 시
- 마지막 다항은 보고의무 위반은 아니라서 대답을 못 했는데요 법 158조에 포함되어 있는 사항이라서 3가지라고 물어보신 것 같습니다.
13. 마그네틱 COMPASS 오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