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통신 iPilot 자료(2012.1월~2012.11월) 정답보정 & 최근시험 올립니다
2013.03.29 14:52
안녕하세요. iPilot에서 지난 2012년 1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자료를 프린트하여 공부하였습니다. 교통통신은 최근자료가 없네요ㅠㅠ
후배한테 받은 2013년 1월 자료와 제가 본 시험 3월 자료도 같이 올립니다. 기출문제는 이것만 프린트하셔서도 될듯합니다. 좋은결과 바랍니다.
<교통통신>
<2012.3.13
& 27>
1.통신두절시 틀린 것은?
1) 통신두절시 시간에 맟춰 착륙한다.
2) 통신두절시 시간에 맟춰 체공한다
3) 통신두절시 고도,속도를 30분간 유지후 비행한다(20분간 유지후 비행한다)
2. APP Chart 상단에 25hap 표기되어있고 FL240에서 Local Altimeter set 하지않고 QFE 사용 공항에 착륙하였다.
이때 공항의 Altimeter는 30.17Inhg 이라면 비행기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는?
1)988 2)0 3)500 4)
이유는 25hpa은 1hpa=30ft(0.03Inhg) 이므로 25hpa=750ft가
해수면 공항고도이다.
로컬 QNH가 30.17Inhg 이고 비행기는 29.29Inhg 상태이므로 30.17 – 29.29 = 0.25Inhg(250ft) 낮다.
따라서 공항은 750ft인데 QFE 30.17을 29.29로 셋한 비행기는 공항표고보다 250ft 낮은 500ft를 지시한다.
그런데 이공항이 QFE 사용공항이고 Altimeter가 30.17inhg일때 고도계는 '0'을 가르킨다. 그럼 29.92inhg를
set했으면 공항표고 '0' 보다 250ft 낮은 -250ft를 비해기 고도계가 지시한다.
답이 500ft 또는 -250ft 인데 제가 이문제에서 좀 헛깔려서 정확한 문제와 보기에서 -250 있었는지 정확히 생각이 안나
두개의 문제풀이를 올립니다.
3. WIND 측정방법 중 틀린 것은?
1) GUST 100kt 넘어가면 M 표기한다
2)측정바로 전 10분동안 순간최대풍이 10kt가 넘어가면 G표기하여 발표한다.
3)10m 위에서 측정하고 방위는 10단위,풍속은 1kt단위로
표기한다.
4)Wind Calm은 00000뒤에 kt를 붙인다.
4. ATIS 틀린것은?
1)Automatic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2)기압수정치, 사용RWY 정보제공
3)운고5,000ft 시정5km 이상은 생략가능 (5sm 일때 생락 가능)
4)60NM and 25,000ft 수신가능하다
5. HAVE NUMBER란? 활주로 방향 (RWY,
WIND, Altimeter 만 받았을경우)
6. ILS G/S 송신기 위치? 활주로 끝에서 750ft ~ 1,250ft, 활주로 중앙에서 250ft ~ 650ft에
있다.
7. ILS의 LOC 시그널 중 2개의
시그널을 보낸고 DME, Marker Beacon을 대신할수있는 것은?
1)MM
2)OM 3)Middle compass
locator 4)Outer compass locator
8. TACAN 틀린것은?
1)Identifing VOR is by Morse Code or recorded Automatic Voice word “VOR”
following by Range name.
2)Maintenance 일때는 T-E-S-T code( ㅡ ● ● ● ● ㅡ)또는 code may be removed
3)사용 가능한지 Voice로 들을수있어 알수있다( 이런 비슷한 지문 이였음)
9. MVA 틀린것은?
1)1,000ft 이상 장애물 높이 이상이다.
2)Radar vector 중이면 지정된 IFR Altitude보다 높아야 한다 (낮을수있다)
3)MVA는
MEA보다 낮을수있다.
4)Radar ATC 하에서 운영한다
10. 반복 비행 계획서에서 보고 할 필요없는 것은?
1)순항고도 2)항공기Call Sign 3)유효기간 4)교체공항
11. resume own navigation 라고 지시하면 그 의미는?
자체 항법으로 비행해라
(이것이 족보에 답으로 나오는데 정의를 찾아보면 첫째, 항행하는데 있어서 항행책임이 조종사에게 돌아간다
둘째, 이는 항공기가 RDR에 의해 유도되던 중 Radar contact lost 이거나 종료된 경우에 제시 한다라고 되어있다.
따라서 다른 보기중에 있는 정확히 기억이 안나서ㅠㅠ radar contact lost 라는 보기가 정답일듯합니다.).
12.Holding Report 아닌것은?
조종사 및 승무원 인원보고
13. 마크 NO. 구하기? TAS/음속 으로 구하면 됩니다
14. 위치보고시 아닌 것은?
목적지 도착 예정시간
15. ADIS 관련 틀린 것은?
1)항공기는 40분전 (항공기는 1시간 전)
2)자국항공기는 15분전
16. CG문제 : 1,000kg 이
150inch, 2,000kg 이 100inch, 1,000kg 이 -50inch 일때 CG는?
4,000kg
에
75inch
1,000*150 + 2,000*100 +
1,000*(-)50 / 1,000 + 2,000 + 1,000 = 150,000 + 200,000 -50,000 / 4,000
= 300,000 / 4,000 = 75inch 이고 무겐 4,000kg
17. 비상사태 기준이 아닌 것은?
1)불확실단계 2)경보단계 3)조난단계 4)비상단계
18. 항공교통 관제기관이 아닌 것은?
1)지역관제센터 2)접근관제센터 3)타워 4)비행장~~ 나오는데
(언듯보면 지역,접근,비행장이 맞는데 타워가 비행장관제업무 인것인 것 같고 4번보기 비행장~~의 뒷단어가
생소한 것이라 4번이 답인듯 합니다)
19. AIP GEN 내용이 아닌 것은?
1)국가규정 및 기준 2)도표 및 부호 3)업무 별 4)일반규칙 및 절차
20. 항행중 항공기에 비행장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하여 모르스부호로서 명멸하는 등화는?
1) 비행장등대 2)비행장식별등대 3)위험등대 4)신호항공등대
21.ATIS 설명 중 틀린 것은?
1) 중요한 사항 변경시 즉시 수정한다
2) ILS 주파수를 사용한다
3) 반복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4)
22. CAT II 설명중 맞는 것은?
결심고도는 100ft(30m) 이상부터 200ft(60m)미만이고 시정은 300m 이상부터 550m미만
23. 항공지상국에서 항공기국으로 또는 항공기국에서 항공기국간 통신은?
1) 항공이동통신업무 2)항공고정통신업무
3)항공방송통신업무
4)
24. 밑에 그림에서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홀딩패턴 2)접근패턴
3)강하패턴
4)
25. 라디오 송신은 되고 수신만 안될 때?
1) Trnasmitting blind due
to receiver fail (AIM 찾아보면
몇번 하라고 안나와 있음. 한번 맞을 듯)
2) Trnasmitting blind x 2 due
to receiver fail
3) Trnasmitting blind x 3 due
to receiver fail
4) Receiver fail
26. 항공국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1)항공지상국 2)항공기국 3)
27. Charted Visual Approach Chart 틀린것?
28. 목적지 공항에 비가 내리고 있다. L/D Distance는 어떻게 구하나?
1) WET RWY ACTUAL L/D DIST x 1.15
2) DRY RWY ACTUAL L/D DIST x 1.5
3) DRY RWY L/D DIST x 1.15
4) DRY RWY L/D DIST x 1.3
<2013.1.16 시험후기>
1.20마일, 10000피트 미만시 Min 속도는? 210kt
2.유도로등,유도로중심선등,활주로,활주로중심선등 색깔
=> 유도로(청색) 유도로중심등(녹색) 활주로(백색+황색) 활주로중심선등(백색+적색)
3.MISSEDAPP 절차틀린것?
=> 선회접근 착륙(Circling TO Land) 중 시각 참조물을
잃어 버렸다면 설정된 비행접근절차 경로 상으로 비행하기
위하여 조종사는 일단 착륙 활주로 쪽으로 상승선회해야 한다.(문제에서
보기에는 실패접근절차 경로 상으로 선회 한다라고 나온다..)
4.SQ CODE 문제? 비상상황(7700) 하이제킹(7500)
5.착륙지시 5분후에도 연락이 안되면 무슨단계? 경보단계(AILERFA)
6. AIP나 NOTAM에 수록되지 않은 것은 어디로 배포하나? AIC
7.VOT 지상오차? +-4 (공중은
+-6 , 두지점간은 +-4)
8.VOR “L”반경?
40NM
9.주의 공역이 아닌 것은?
1)군작전공역 2)민간항공기 훈련공역 3)비행제한공역 4)위험공역
참고) 주위공역은 군작적공역, 위험공역, 훈련공역, 경계공역이
있고
통제공역은 비행금지공역, 비행제한공역이 있다.
10.FUEL DUMPING관련 AIM내용? ATC가 IFRR과 VFR항공기조언
틀린 것은?
1)보고받은 관제사가 3분마다 보고
2)해당 조종사는 덤핑할 내용 즉시 보고
3)해당 항로를 비행할 항공기 조종사는 즉시 고도 및 항로 변경
4)관제사는 special
vfr 및 ifr 항공기를 해당 항공기 조언( 조언이 아니라 분리 해줘야 한다)
11.비행계획서 제출시간 ICAO 기준?
1)10분 2)20분 3)30분 4)60분
12.MSA 설명중 틀린 것은? 5개 섹터 (4섹터만 있다)
13.SNOTAM? GG
14.바람관련?
10분관측
15.공항의무표지시설 설명중 맞는것?
1)항공기가 활주로를 빠져나오거나 유도로로 진입하기위해 필요한 싸인
2)항공기나 차량이 관제사 허가가 있어야
진입할 수 있는 구역
3)할주로 이탈하는 교차점에 설치
16.LAHSO관련
17. 40마일 이내에 있을 때 분리간격?
1)2NM 2)3NM 3)5NM 4)6NM (40NM 이전 3NM, 40NM 밖에선 5NM)
18.숫자 4 읽는법? FOWER
19.항공기 카테고리에따른 간격분리 (밑에 설명은 맞는 것들임)
=>Heavy 뒤에 Heavy는 4mile 간격분리
Heavy 뒤에 Medium은 5mile
Heavy 뒤에 Light는 6mile
Medium 뒤에 Light는 4mile
<교통통신
IPILOT 복기(2012.10.31, 11.8)>
1. 항공국과 항공기간, 항공국 상호간
통신업무는?
항공이동업무(AMS : Aeronautical Mobile Services)
* 항공교통관제(ATC : Air
Traffic Control)
1. 항공교통(Air Traffic) : 공항의
기동지역에서 운영중인 모든 A/C(APRON 제외), 비행중인
모든 A/C
: ※ 공항교통(Airport Traffic)
: 공항의 이동지역(기동지역 + APRON), 공항부근을
비행하는 모든 A/C
※ 비행장내 지역구분
o 이동지역(Movement Area) :
Maneuvering Area + Apron
-
A/C의 T/O,
L/D 및 지상유도용으로 사용되는 비행장내의 한 부분
o 기동지역(Maneuvering Area)
: A/C의 T/O, L/D 및 지상유도용으로 사용되는 비행장내의 한 부분(APRON 제외)
o
APRON : 여객(승객), 우편물 or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급유 주기 or 정비하는 A/C를 수용하기 위해 육상 비행장에 설정된 구역
2. 항공교통업무(ATS : Air
Traffic Services)
가. 목적 : ①항공기간 충돌방지 ②기동지역내 항공기와 장애물 충돌방지
③항공교통의 촉진 및 질서유지
④비행안전과 효율적인 비행에
필요한 정보 및 조언 제공
⑤항공기에 대한 수색과 구조가
필요한 경우 이 사실을 관계기관에 통보하고 필요한 협조 제공
o 항공교통관제업무 : ①②③
- 지역관제업무 : ①③ - 접근관제업무 : ①③- 비행장관제업무 : ①②③
o 비행정보업무 : ④
o 경보업무 : ⑤
※ 항공고정업무(AFS : Aeronautical Fixed Services) : 특정된 고정지점(통신소)간 통신업무(지상통신소간
필요한 정보교환)
※ 항공이동업무(AMS : Aeronautical Mobile Services) : 항공국과 항공기간, 항공국 상호간 통신업무
※ 항공국(Aeronautical Station) : 항공이동업무를 위해 지상에 설치된 무선국(함정 or 위성에 설치되기도 함)
2. 표준 IFR 간격분리(레이더가 같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 간격분리는?
안테나로부터 40NM 이내 비행하는 항공기간 : 최소 3NM
안테나로부터 40NM 밖에서 비행하는 항공기간 : 최소 5NM
3.
mandatory instruction signs 설명 중 맞는것
보기 : 운항하는 항공기의 필요에 의해
지상 이동하는 차량및 항공기의
제한된 구역에 대한...
활주로 이탈하는 교차점에 설치
*AIM
2−3−8. Mandatory Instruction
Signs
a.
These signs have a red background with a white
inscription
and are used to denote:
1.
An entrance to a runway or critical area and;
2.
Areas where an aircraft is prohibited from
entering.
b.
Typical mandatory signs and applications
are:
1.
Runway Holding Position Sign. This sign
is
located at the holding position on taxiways that
intersect
a runway or on runways that intersect other
runways.
The inscription on the sign contains the
designation
of the intersecting runway as shown in
FIG
2−3−24. The runway numbers on the
sign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runway
threshold.
For example, “15−33” indicates that the
threshold
for Runway 15 is to the left and the
threshold
for Runway 33 is to the right.
(a)
On taxiways that intersect the beginning
of
the takeoff runway, only the designation of the
takeoff
runway may appear on the sign as shown in
FIG
2−3−25, while all other signs
will have the
designation
of both runway directions.
(b)
If the sign is located on a taxiway that
intersects
the intersection of two runways, the
designations
for both runways will be shown on the
sign
along with arrows showing the approximate
alignment
of each runway as shown in FIG 2−3−26.
In
addition to showing the approximate runway
alignment,
the arrow indicates the direction to the
threshold
of the runway whose designation is
immediately
next to the arrow.
(c)
A runway holding position sign on a
taxiway
will be installed adjacent to holding position
markings
on the taxiway pavement. On runways,
holding
position markings will be located only on the
runway
pavement adjacent to the sign, if the runway
is
normally used by air traffic control for “Land, Hold
Short” operations or as a
taxiway. The holding
position
markings are described in paragraph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
2.
Runway Approach Area Holding Position
Sign.
At some airports, it is necessary to hold an
aircraft
on a taxiway located in the approach or
departure
area for a runway so that the aircraft does
not
interfere with operations on that runway. In these
situations,
a sign with the designation of the approach
end
of the runway followed by a “dash” (−) and letters
“APCH” will be located at the holding
position on the
taxiway.
Holding position markings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
will
be located on the taxiway pavement. An example
of
this sign is shown in FIG 2−3−27. In this
example,
the
sign may protect the approach to Runway 15
and/or
the departure for Runway 33.
3.
ILS Critical Area Holding Position
Sign.
At some airports, when the instrument landing
system
is being used, it is necessary to hold an aircraft
on a
taxiway at a location other than the holding
position
described in paragraph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 In these situations the holding
position
sign for these operations will have the
inscription
“ILS” and be located adjacent to the
holding
position marking on the taxiway described in
paragraph
2−3−5. An example of this sign is
shown
in
FIG 2−3−28.
4.
No Entry Sign. This sign, shown in
FIG
2−3−29, prohibits an aircraft
from entering an
area.
Typically, this sign would be located on a
taxiway
intended to be used in only one direction or
at
the intersection of vehicle roadways with runways,
taxiways
or aprons where the roadway may be
mistaken
as a taxiway or other aircraft movement
surface.
NOTE−
The
holding position sign provides the pilot with a visual
cue
as to the location of the holding position marking. The
operational
significance of holding position markings are
described
in the notes for paragraph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
4. 피요격기의 비행선상을 가로지르지 않고 90°
이상 상승선회하면서 피요격기로부터 급작스런 이탈기동의 의미
주․야 : 피요격기의 비행선상을 가로지르지 않고 90° 이상 상승선회하면서 피요격기로부터 급작스런 이탈기동
|
당신은 계속
비행해도 좋음
|
주․야 : Wing Rocking
(회전익) 동체를 흔든다
|
〃
|
5.
SQ RESET시 용어
- SQ
Altitude”
: Mode C를 작동시키라는 지시
Mode
C 작동 금지시 :
“Stop Altitude SQ, Altitude differs ____FT”
“Stop SQ'" : 지시된 Mode S/W를 끄라는 지시, Transponder S/W Off 지시
"SQ'
VFR" : SQ 1200 Code나 적절한
다른 VFR Code Set(ident은 하지 않는다)
*젭슨
reselection
of the assigned mode and code : RECYCLE [(mode)] (code) / RECYCLING [(mode)]
(code)
confirmation
of Mode A Code selection : CONFIRM SQUAWK (code) / SQUAWKING (code)
6. 비행계획서와 관련된 시간(기출문제)
о 비행계획서 제출시기 : ICAO(1시간), FAR(VFR 1시간, IFR 30분전)
о 출항 예정시간 변경
- 1시간 이상 지연, 이륙할 것으로
예상시 비행계획서가 계속 유효하도록 ATC에 이륙예정시간을 재통보
- 비행계획서상의 이륙시간과 1시간
이상 차이날 때 ATC에 보고
о IFR 비행계획의 취소 : 운영
TWR 있으면 착륙과 동시 자동종결, 없으면 취소는 조종사가 해야 한다
о VFR/DVFR 비행종결 : ETA 후 30분 내에 비행계획을 취소하지 않았거나 보고하지 않으면 수색/구조절차
시작
о 비행계획서에 기재한 속도보다 TAS가 5%나 10kts 중
많은 것까지 변화될 때(RDR 관제)
- 전에 보고한 예정시간이 3분 이상
착오가 생길 때(RDR 관제하에 있지 않을 때의 보고)
7. 특별사용공역(Special Use
Airspace) 관련 문제
가. Prohibited area(금지공역) : 국가기밀이나 국가복리와
관련한 기타 이유 때문에 설정된 비행 금지구역
나. Restricted area(제한공역) : 전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한을 받음
- 고각사격, 대공/대지 사격, 유도탄 사격 등으로 인해 항공기에 위험한 곳 - VFR 비행을 하기 전에 조종사가 인가
기관에 특수허가를 받아야 할
공역
다. Alert area(경계공역) : 대량의 비행훈련 또는 비정상 상태의
비행활동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
- 이 지역의 모든 조종사는 공중 충돌회피에 책임이 있다.
라. MOA(군작전공역) : 민간 항공 운영과 군사 훈련 활동을 구분하기
위해 설정
-
Sectional Chart, VFR Terminal Area Chart, Low Altitude Enroute Chart에서 찾을 수 있다.
마. 공항 조언지역(airport advisory area) : 운영하는
관제탑이 없고 자동화 되지 않은 FSS가 위치한 공항의 10SM
이내의 공역
-
FSS는 국지 공항 조언 서비스를 제공 - 공항지역 진입할 때 대략 10마일 지점에서부터 적절한 CTAF를
청취해야 한다.
바. CLASS G 공역(비관제) :
CLASS A,B,C,D,E 공역으로 지정되지 않고 ATC에 의해 관제되지 않는 공역
o
CLASS E 공역이나 VICTOR 항로 아래 부분은 통상적으로 관제되지 않는다.
-
Class E : 700' or 1200' 이내 - Vitor 항로 : 미국
14,000 MSL 이하
8.
ICAO 기준 시계의 허용오차
- 기출문제에 많이 나왔던 문제인데, 답을
찾지 못해 30초로 했습니다.
9. 출입??시 인가가 필요한 공역이
아닌 것은? (문제가 정확하지 않습니다.)
보기 : 금지공역, 제한공역, MOA 등
10.
Feeder Route 어디에서 확인할수 있는가? (나)같음
가. ARRIVAL CHART 나. APPROACH CHART 다.. 라..
*AIM
FEEDER
ROUTE− A route
depicted on instrument
approach
procedure charts to designate routes for
aircraft
to proceed from the en route structure to the
initial
approach fix (IAF).
(See
INSTRUMENT APPROACH PROCEDURE.)
11. 비행정보간행물(AIP :
Aeronautical Information Publication), AIRRAC, AIC관련한 문제
# 네이버 지식
ㅇ 항공정보간행물 수정판(Amendment)은 항공정보에 수록된 내용중에서 영구적으로 변경되는 사항을 수록하여 발간되는 반면, 보충판(Supplement)은 항공정보간행물에 수록된 정보가
일시적인 변경되는 사항을 수록하여 발간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ㅇ 항공정보간행물 수정판(AMDT)
- 항공정보간행물 수정판은 정기(Regular)
수정판과 항공정보관리절차(AIRAC) 수정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정기 수정판은 정기적인 간격으로 발간되는 수정판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28일 주기로 발간됩니다.
- 국제적으로 통일된 규정은 없으나, 대부분의
국가가 두가지 수정판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구분할수 있도록 정기수정판은 그 표지의 색깔을 연한 파랑색을 사용하고 항공정보관리절차 수정판의 표지는
연한 분홍색을 사용하여 구분합니다.
- 수정판 구분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정기수정판은 받는 즉시 항공정보간행물
기본판에 가제하면 되고 항공정보관리절차 수정판은 별도로 보관하였다가 수정판 표지에 명기된 발효일자에 가제하여야 합니다.
ㅇ 항공정보간행물 보충판(SUPP)
- 항공정보간행물 보충판도 수정판과 마찬가지로 정기(Regular) 및 항공정보관리절차(AIRAC) 보충판으로 구분됩니다. 보충판은 기본적으로 정보가 일시적으로 변경되는 사항에 대하여 발간되는 간행물인데, 여기서 일시적이라 함은 일시적이나 3개월 이상 변경되는 사항을
말합니다.
- 보충판은 용지를 전체적으로 노란색을 사용하여 다른 간행물과 구분될 수
있도록 하지만 정기판과 항공정보관리절차(AIRAC)판은 색깔로 구분하지는 않지만, 항공정보관리절차(AIRAC)판에는 표지에 'AIRAC'이라는 약어를 표기하여 일반판과 구분합니다.
ㅇ AIRAC 항공정보간행물(AIP) 수정판/보충판 발간대상
- 다음 명시된 사항의 설정, 폐지
및 사전계획에 의한 중요한 변경(시험운영 포함)은 규정된
발효일자로 발효시켜야하며 사전 통보를 위하여 AIRAC 절차에 따라 배포되어야 한다.
1)
다음과 같은 공역의 범위(수평 및 수직), 규칙 및 절차
가) 비행정보구역
나) 관제구
다) 관제권
라) 조언지역
마) ATS 항공로
바) 영구적으로 설정된 위험구역, 금지구역 및 제한구역(종류 및 발효기간 포함) 및 방공식별구역
사) 요격 가능성이 있는 영구적인 공역, 비행로 또는 구역
2)
항행안전무선시설 및 통신․감시시설의 위치, 주파수, 호출부호, 식별부호, 운용의 불규칙성 및 정비기간
3)
체공절차, 접근절차, 도착․출발절차, 소음감소절차 및
기타 적절한 항공교통업무절차
4)
기상시설(기상방송
포함) 및 절차
5)
활주로 및 정지로
6)고도계전환레벨(transition
levels), 고도계전환고도(transition altitudes), 최저섹터고도(Minimum Sector Altitudes)
7)
접근 및 활주로 등화시스템
8)
유도로 및 계류장
9)
저시정절차를 포함한 지상운영절차
ㅇ 다음에 명시된 상황의
설정, 폐지 및 계획된 중요한 변경사항도 필요시 AIRAC 발효일을
사용하여 AIRAC 절차에 따라 공고할 수 있다.
1)
항공장애물의 위치, 높이 및 등화
2)
유도로 및 계류장
3)
비행장, 시설
및 업무의 운영시간
4)
세관, 입국관리
및 검역업무
5)
임시로 설정된 위험구역, 금지구역, 제한구역 및 항행에 대한 장애요소, 군 훈련 및 항공기의 대량이동
6)
요격이 가능성이 존재하는 임시로 설정된 공역 또는
비행로 또는 그 일부분
더 문의하실 내용은
서울지방항공청 원주공항출장소
관제담당 김경수 033-344-0166
|
12. 항공기가 납치사항에 있을때 조종사 절차중 틀린 것은?
보기 : “절대로 테러범이 요구하는 목적지로 가면 안된다”라는 보기만 생각이 나네요
*젭슨
3
UNLAWFUL INTERFERENCE
3.1
GENERAL
3.1.1
An aircraft which is being subjected to unlawful interference shall endeavor to
notify the appropriate ATS unit of this fact, any significant circumstances
associated therewith and any deviation from the current flight plan
necessitated by the circumstances, in order to enable the ATS unit to give
priority to the aircraft and to minimize conflict with other aircraft. (Annex
2, 3.7)
3.1.2
When an air traffic services unit knows or believes that an aircraft is being
subjected to unlawful interference, no reference shall be made in ATS
air-ground communications to the nature of the emergency unless it has first
been referred to in communications from the aircraft involved and it is certain
that such reference will not aggravate the situation. (Annex 11, 5.6.2)
3.2
TRANSPONDER OPERATIONS — UNLAWFUL INTERFERENCE WITH AIRCRAFT IN FLIGHT
3.2.1
If there is unlawful interference with an aircraft in flight, the
pilot-in-command shall attempt to set the transponder to Mode A Code 7500 in
order to indicate the situation: If circumstances so warrant, Code 7700 should
be used instead. (Doc 8168, Vol I, Part III, Section 3, Chapter 1, 1.6.1).
3.2.2
If a pilot has selected Mode A Code 7500 and has been requested to confirm this
code by ATC (in accordance with 1.1.5), the pilot shall, according to
circumstances, either confirm this or not reply at all. (Doc 8168, Vol I)
NOTE:
If the pilot does not reply, ATC will take this as confirmation that the use of
Code 7500 is not an inadvertent false code selection.
3.3
PROCEDURES
3.3.1
The following procedures are intended as guidance for use by aircraft when
unlawful interference occurs and the aircraft is unable to notify an ATS unit
of this fact. (Annex 2, Attachment B)
3.3.2
Unless considerations aboard the aircraft dictate otherwise, the
pilot-in-command should attempt to continue flying on the assigned track and at
the assigned cruising level at least until able to notify an ATS unit or within
radar coverage. (Annex 2, Attachment B, 2.1)
3.3.3
When an aircraft subjected to an act of unlawful interference must depart from
its assigned track or its assigned cruising level without being able to make
radiotelephony contact with ATS, the pilot-in-command should, whenever
possible;
a.
attempt to broadcast warnings on the VHF emergency frequency and other
appropriate frequencies, unless considerations aboard the aircraft dictate
otherwise. Other equipment such as on-board transponders, data links, etc.,
should also be used when it is advantageous to do so and circumstances permit;
and
b.
proceed in accordance with applicable special procedures for in-flight
contingencies, where such procedures have been established and promulgated in
ICAO Document 7030 — Regional Supplementary Procedures; or
c.
if no applicable regional procedures have been established, proceed at a level
which differs from the cruising levels normally used for IFR flight by:
1.
150m (500 ft) in an area where a vertical separation minimum of 300m (1000 ft)
is applied; or
(Annex
2, Attachment B, 2.2)
13.
CATEGRY 중 틀린 것은
보기 1) A : 91KTS이하 등
*AIM
5−4−7. Instrument Approach
Procedures
a.
Aircraft approach category means a grouping of
aircraft
based on a speed of VREF, if specified, or if
VREF
is not specified, 1.3 VSO at the maximum
certified
landing weight.
.
See
the following category limits:
1.
Category A: Speed less than 91 knots.
2.
Category B: Speed 91 knots or more but less than 121 knots.
3.
Category C: Speed 121 knots or more but less than 141 knots.
4.
Category D: Speed 141 knots or more but less than 166 knots.
5.
Category E: Speed 166 knots or more.
14. 항법장비 관련 설명중 틀린 것은?
보기 1) DME 108.0~111.95MHZ
* 항법보조장비
구분
|
정의
|
주파수 대역
|
정보
|
식별부호
|
NDB
/ADF
|
Nondirectional
Radio Beacon
(무지향표지시설)
|
AIM
: 190~535MHZ
작교 5-1-7<2>:
190~1750KHZ
or 275~287MHZ
|
360도 전방위
가시선 영향 없음
(최대수신: 75NM)
|
코드화된 세문자
|
Automatic
Direction Finder
(자동방위탐지시설, A/C 장착)
|
warning
flag 없다
|
|||
VOR
|
VHF<Very
High Frequency>
Omni<‘all‘>-directional Range
전방향 표지시설
|
108.0~117.95MHZ(VHF)
※ ILS localizer
:
108.10~111.95MHZ
※ ILS G/S
:
329.15~335.00MHZ
|
360도 전방위
가시선 영향
(최대수신 : 130NM)
warning
flag
|
2~3개 문자로 된 국제 모르스 부호
|
DME
|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거리측정시설
|
962~1,213MHZ(UHF)
|
사거리/경사거리
가시선 영향
경사거리(NM)
(최대수신 :199NM)
약 1NM의 오차
|
|
TACAN
|
Tactical
Air Navigation
전술항행표지시설
|
UHF
주파수 대역
|
방위 + 거리
고정식/이동식
|
|
VORTAC
|
VOR
+ TACAN
TACAN과 민간시설이 통합된 시스템
|
VOR(방위)
+
TACAN(방위 +거리)
|
세문자 코드발신
|
15. 계기 비행 활주로 등화 중 틀린 것은?
보기 1) R/W LT 백색 (백색+황색) 2)R/W 중심등 백색+적색
3) 유도로 등 청색 4) 활주로 정지등(STOP BAR LT)
R/W
LT는 백색 + 황색 : 최종 2000' 나 R/W
1/2 중 작은 거리에 해당되는 부분 부터는 황색
16.
VOT 수신기 점검 설명중 틀린 것 고르는 문제임
17. 주간 IFR시 항공등화 운영시간 ? (문제가 확실하지 않음)
18.
NOTAM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 ? (답이 3번인 거 같습니다.)
1)
.... 시설에 변경 2).....구조(RESCUE) 운영의 변경 3) 규정에 대한 중요사항 변경 4).....
# 네이버 지식자료
항공고시보로 발송되는 내용은
항공정보 및 항공지도등에 관한 업무기준(항공안전본부 고시 제2009-1호)에
따라 해당되는 사항을 전문을
통해 항공고시보로 발송합니다.
항공고시보로 발송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비행장 또는 활주로의 설치, 폐쇄 또는 운용상 중요한 변경
2)
항공업무(AGA,
AIS, ATS, COM, MET, SAR 등)의 신설, 폐지 및 운영상 중요한 변경
3)
항행안전시설 및 비행장 시설의 설치 또는 철거. 이에는 항행안전무선시설 및 공지통신업무의 운용중지
또는 복구, 주파수 변경, 운용시간변경, 식별부호변경, 방위 변경(방향성시설인 경우),
위치변경, 50%이상
의 출력증감, 방송스케줄 또는 내용에 대한 변경, 운용의 불규칙성 또는 불확실성
등이 포함된다.
4)
시각보조시설(Visual
aids)의 설치, 철거 또는 중요한 변경
5)
비행장등화시설중 주요 구성요소의 운용중지 또는
복구
6)
항공항행업무절차의 신설, 폐지 또는 중요한 변경
7)
기동지역내 중요한 결함 또는 장애의 발생 또는
제거
8)
연료, 기름
및 산소공급의 변경 또는 제한
9)
수색구조시설 및 업무에 대한 중요한 변경
10)
항공항행에 중요한 장애물을 표시하는 장애등대의
설치, 철거 또는 복구
11)
즉각적인 조치를 필요로 하는 규정변경. 예: 수색구조활동을 위한 금지공역 설정
12)
항공항행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소의 발생
(장애물, 군사훈련, 시범비행, 비행경기, 공고된
장소 이외에서의 낙하산 강하를 포함);
13)
이륙/상승지역, 실패접근지역, 접근지역 및 착륙대에 위치한 항공항행에 중요한
장애물의 설치, 제거
또는 변경
14)
금지공역, 제한공역
또는 위험공역의 설정 또는 폐지(발효 또는 해제를 포함) 또는
상태의 변경
15)
요격의 가능성이 상존하여 VHF 비상주파수 121.5 ㎒를 계속적으로 감시할 필요가 있는
지역 또는
항공로, 또는 항공로 일부분에 대한 설정 및 폐지
16)
지명부호의 부여,
취소 또는 변경
17)
비행장 소방구조능력의 중요한 변경. 항공고시보는 등급변경의 경우에 한하여 발행하여야 하며,
등급변경사실이 명확히 표시되어야
한다.
18)
이동지역내 눈,
진창, 얼음 또는 물로 인한 장애상태의 발생, 제거
또는 중요한 변경
19)
예방접종 및 검역기준의 변경을 필요로 하는 전염병의
발생
20)
태양우주방사선에 관한 예보(가능한 경우에 한함);
21)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화산활동의 중대한 변화, 화산분출의 장소, 일시, 이동방향을
포함한 화산재 구름의 수직/수평적 확대, 영향을 받게
되는 비행고도 및 항로 또는 항로의 일부
22)
핵 또는 화학 사고에 수반되는 방사성 물질 또는
유독화학물의 대기중 방출, 사고발생 위치, 일자 및 시간, 영향을 받게 되는 비행고도 및 항공로 또는 그 일부와 이동방향
23)
항공항행에 영향을 주는 절차 및 제한사항과 더불어
국제연합(UN)의 원조하에 수행되는
구호활동과 같은 인도주의적
구호활동의 전개
24)
항공교통업무 및 관련 지원업무의 중단 또는 부분적인
중단시의 단기간의 우발대책의 시행
또한 항공교통센터장은 위에
규정된 사항이외에도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항공고시보를 발행하여야 합니다.
기타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항공운항관제 담당자 김 경
수 연락처)033-344-0166
|
19.
VISUAL APP와 CONTACT APP에 대해 틀린 것은 ?
보기 : 보기는 영어로 되어 있고, IFR에 대한 것, 기상제한치, 누구의 요청에 의해 수행되는 지 등
*
Visual Approach(시각접근) / Contact Approach / Special VFR
가. Visual Approach(조종사 및 ATC, 둘 중 하나에 의해
시작) - IFR Rule을 따르나 계기접근절차가 없어 실패접근 구간이 없다.
1)
IFR 비행계획상에서 수행되고 조종사가 공항을 시각적으로
보고 접근
2) 조종사는 활주로 ENVIRONMENT 또는
전방기를 시야에 두고 있어야 한다.
3)
ATC에 의해 인가되고 관제
4) 공항보고 기상은 CEILING 1000',
시정 3마일 이상이어야 한다.
5) 공항만 보고 전방기를 보지 않을 때도 접근이 가능
o
ATC가 간격분리나 비행요란 분리의 책임이 있으며
o 전방기만 보고 시각접근시는 조종사에게 책임
6) 이 접근은 조종사/관제사의 일을
감소시켜주고 비행경로를 짧게 하여 교통의 흐름을 신속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TWR나 조언 주파수로 변경지시시 자동으로 종결된다.
7)
VMC에서 수행되는
IFR 절차
나. CONTACT APP'(반드시 조종사가 요청) - IFR Rule을
따름
1)
IFR비행계획에 의거하여 비행하는 조종사가 ATC에 CONTACT APP'를 요구
단, 조종사는 구름을 피하고 이런 기상 상태에서 목적지 공항으로 적절히 계속 비행할 수 있어야 한다.
2) 표준 계기접근절차 또는 특수 계기접근절차가 있는 공항에서 이를 대신하여 신속한
접근을 실시하기 위한 절차이다.
3) 비행시정은 최소 1마일 이상이어야
하며 구름과 장애물 회피는 조종사 책임이다.
4) 간격분리는 접근인가를 받은 항공기간, 이들
항공기와 다른 IFR간에 적용
5) 계기접근 중 GND를 계속 확인하여(CTC) 비행
6)
CONTACT APP'를 계속 할 수 없거나 시정 1마일 이하에 조우시 즉시 ATC에 통보
7) 비행장 주변을 잘 알 때 조종사 요청에 의하여 표준계기접근절차 or 특수계기접근 절차가 있는 공항에서
이를 대신하여 신속한 접근을
실시하기 위한 절차이며 조언 주파수 변경지시시 자동으로 종결된다.
o
SPECIAL VFR : CLASS B, C, D, E 관제권 내에서 ATC 인가를 얻어서 실시
- 계기비행상태에서 IFR 비행 항공기가
기상 악화나 부득이한 사유시 특별시계 비행이 가능하다.
-
VMC로 구름 없는 쪽으로 출항할 수 있는 경우 같은
것을 말함
- 모든 SPECIAL VFR 항공기는
구름이 없는 곳에 있어야 한다.
- 관제권내에서만 유효하며 관제권 이탈시
ATC는 간격분리를 해주지 않는다.
- 계기비행 자격과 IFR에 적합한
장비가 없는 한 야간(일몰~일출)에는 금지
- 비행시정이 1마일 이상이어야 한다.
20.
RADIO 송신은 되고 수신만 안될 경우 처음 말하는
용어는? (문제가 확실치 않음)
보기 : 1) RECIEVE ONLY 2) TRANSMITTING BLIND...........
6.3
RECEIVER FAILURE
6.3.1
When an aircraft station is unable to establish communication due to receiver
failure, it shall transmit reports at the scheduled times, or positions, on the
frequency in use, preceded by the phrase “TRANSMITTING BLIND DUE TO RECEIVER FAILURE”. The aircraft station shall transmit the intended message,
following this by a complete repetition. During this procedure, the aircraft
shall also advise the time of its next intended transmission. (Annex 10,
21.
ADIZ 통과 관련 규정 (외국항공기, 자국항공기).... 기출문제에
있는 내용임
외국항공기 1시간, 자국항공기 15분
22. 변경시 보고사항
1)
TAS의 5%나 10K중 많은 것 2) ETA +-3분 ......
23. 기지로부터 20NM 10M’ 미만시
속도?
보기 : 210, 220, 230, 240
-
10,000'이하 접근 공항 20NM 밖에서 Turbine 항공기의 Min Spd는? ---<210>,
24.
ATIS는 설명중 틀린 것 고르는 문제
보기중에 가능한 1분의 시간 이내에 녹음 하도록 한다.이게 틀린것임... 원래는 30초 이내로 녹음한다
25.
ATC CLEARANCE관련한 문제인데 족보에는 있는
것과는 약간 다른 문제 인거 같음
틀린 용어를 찾는 것으로 밑에
있는 3개 문구는 정답
공지 통신국을 통하여 조종사에게
전달되는 비행인가, 그리고 ATC 기구로부터 통보되는 관제정보
또는 정보요청에 대한 응답에는 ATC CLEARS, ATC ADVISES, ATC REQUESTS 라는
용어를 서두에 붙인다
*AIM
4−4−2. Clearance Prefix
A
clearance, control information, or a response to a
request
for information originated by an ATC facility
and
relayed to the pilot through an air−to−ground
communication
station will be prefixed by “ATC
clears,” “ATC advises,” or “ATC requests.”
26. 가능한 항공기가 FIX 에 도달
최소 5분전에 FIX 이후에 대한 비행인가를 통보하여야 한다
27. 실패접근(MISSED APPROACH)에
대한 설명중 틀린것 고르는 문제....정답은 라
가. 실패접근점에 도달후 착륙할 수 없을때 조종사는 ATC 에 통보한다
나. 상승시에 접근챠트에서 더 많은 상승률을 요구하지 않는 한 최소한 200FPM
이상의 상승각이 요구된다
다. 조종사는 선회조작 하기전에 MDA 또는 DH 고도 이상으로 실패접근점까지 비행을 한후 접근 차트에 설정된
대로 실패접근비행을 하여야 한다
라. 선회접근 착륙(Circling TO Land) 중 시각 참조물을
잃어 버렸다면 설정된 비행접근절차 경로 상으로 비행하기
위하여 조종사는 일단 착륙
활주로 쪽으로 상승선회해야 한다..
(문제에서 보기에는 실패접근절차 경로 상으로 선회 한다라고 나온다..)
28. 주의공역에 속하지 않는 것은 ?
보기 : (1) 군 작전공역 (2) 민간 항공기 훈련공역 (3) 비행제한공역 (4) 위험공역
29. Chart의 각 Folder 부분에 도시이름이
있는 것?
답) (ZIGDEX)
30.
APP속도
CATEGORY와 CIRCLING시 적용관련 사항중 틀린 것
보기 :1) CATEGORY C인 항공기가 CIRCLING시 D를 적용할 수 있다.(이게 틀린거 아닐까요?)
31. 용어와 뜻이 틀린 것은?(아래의
예문은 모두 맞습니다.)
1)
AFFIRMATIVE : YES
2)
NEGATIVE : “No,” or “permission
not granted,” or “that is not
correct.”
3)
CONFIRM : Have I correctly received the following ...? or, Did you correctly
receive this
message?
4)
ROGER : I have received all of your last transmission. It should not be used to
answer a
question
requiring a yes or a no answer.
WILCO− I have received your
message, understand it, and will comply with it.
VERIFY− Request confirmation of
information; e.g., “verify assigned altitude.”
32. 숫자 4를 읽는 법
보기 : 1) FOUR 2) FOW-ER 등
33. 빛총 관련시 조종사 절차중 맞는 것?
신호의 종류
|
의 미
|
||
비행중인 항공기
|
지상에 있는 항공기
|
차량ㆍ장비 및 사람
|
|
연속되는 녹색
|
착륙을 허가함
|
이륙을 허가함
|
통과 또는 진행 할 것
|
깜박이는 녹색
|
착륙을 준비할 것
|
지상활주를 허가함
|
|
연속되는 적색
|
다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고 계속 선회할 것
|
정지할 것
|
정지할 것
|
깜박이는 적색
|
비행장이 불안전하니
착륙하지 말 것
|
사용중인 착륙지역으로부터
벗어날 것
|
활주로 또는 유도로에서
벗어날 것
|
깜박이는 백색
|
착륙하여 계류장으로 갈 것
|
비행장안의 출발지점으로
돌아갈 것
|
비행장안의 출발지점으로
돌아갈 것
|
※ 항공기의 조종사 응신
방법
- 비행 중 : 주간에는 날개를
흔들고
야간에는 착륙등을 2회 점멸 (착륙등 없는 경우 항행등을 2회 점멸)
- 지상 : 주간에는 보조익 또는
방향타를 움직이고
야간에는 착륙등을 2회 점멸 (착륙등 없는 경우 항행등을 2회 점멸)
|
34.
R/W BRAKE ACTION등이 나오는 노탐은?
- 같은 날 기상문제에서도 나왔었는데, 보기가
달랐던거 같습니다.
보기1 : 1) NOTAM-D 2) NOTAM-L 3) FDC NOTAM 등
보기2 : 1) NOTAM N 2) NOTAM R 3) NOTAM S 등
# 젭슨
FORMAT
EXPLANATION OF SYSTEM NOTAM
NOTAMN
— New
NOTAM
NOTAMR
— Replaces
a previous NOTAM
NOTAMC
— Cancels
a NOTAM
NOTAMS
— SNOWTAM
35.
CAT Ⅱ 기상 ?
종 류
|
결심고도
(Decision
Height/DH)
|
시정
(Visibility)
|
활주로가시범위
(Runway
Visual Range : RVR)
|
Category
Ⅰ
|
60m
이상
|
800m
이상
|
550m
이상
|
200FT
이상
|
1/2
마일 이상
|
1,800FT
이상
|
|
Category
Ⅱ
|
30m
~ 60m
|
300m
~ 550m
|
|
100FT
~ 200FT
|
1,200FT
~ 1,800FT
|
||
Category
Ⅲ-A
|
30m
미만/No DH
|
175m
~ 300m
|
|
100FT
미만/No DH
|
700FT
~ 1,200FT
|
||
Category
Ⅲ-B
|
15m
미만/No DH
|
50m
~ 175m
|
|
50FT/No
DH
|
150FT
~ 700FT
|
||
Category
Ⅲ-C
|
No
DH
|
No
RVR
|
36.
ILS 관련내용
보기 : BACK COURSE관련 예문이 2개 있었음
#AIM
3.
The course line along the extended centerline
of a
runway,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ront
course
is called the back course.
CAUTION−
Unless
the aircraft’s ILS equipment includes reverse
sensing
capability, when flying inbound on the back
course
it is necessary to steer the aircraft in the direction
opposite
the needle deflection when making corrections
from
off−course to
on−course. This “flying away from the
needle” is also required when
flying outbound on the
front
course of the localizer. Do not use back course
signals
for approach unless a back course approach
procedure
is published for that particular runway and the
approach
is authorized by ATC.
37. 유도사에게 조종사가 손을 앞으로 내밀어서 쫙 펴면?
(브레이크를 풀었다)
38.
RANDOM RNAV에 대한것 중 맞는 것?
보기 : RNAV ROUTE가 RDR관제내에 있어야 한다.(이게 답인거 같습니다.
#
AIM
d.
Area Navigation (RNAV)
1.
Random RNAV routes can only be approved
in a
radar environment. Factors that will be
considered
by ATC in approving random RNAV
routes
include the capability to provide radar
monitoring
and compatibility with traffic volume and
flow.
ATC will radar monitor each flight, however,
navigation
on the random RNAV route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pilot.
39. 미국지역 진입시 제한??? (문제가 ADIZ진에 대한 제한을 묻는 것)
보기 : 1) 육지 : 시간 5분이내 경로 10NM이내
2) 해상............
#
AIM
7.
5. Aircraft Position Tolerances.
(a)
Over land, the tolerance is within plus or
minus
five minutes from the estimated time over a
reporting
point or point of penetration and within
10
NM from the centerline of an intended track over
an
estimated reporting point or penetration point.
(b)
Over water, the tolerance is plus or minus
five
minutes from the estimated time over a reporting
point
or point of penetration and within 20 NM from
the
centerline of the intended track over an estimated
reporting
point or point of penetration (to include the
Aleutian
Islands).
40. 항공기에 대한 시계방향정보는 ?
보기 : 1) 항공기 기준의 자방위 2) 항공기 기준의 나방위 .....
<2012.1.12 ipiot에올린후기>
일방적으로 얻어가기만 해서 항상 빚진듯한 마음에 머리짜내서 복원했습니다. 머리가 안좋아서 제대로 복기를 못하겠더군요.
부실하지만 대략적인 경향파악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이강희씨 문제집과 족보 그리고 이전 기출들만 열심히 팠는데 새해들어서 문제를 새로 바꿔낸건지 아니면 제가 쓸데없는것만
공부한건지 처음보는 문제가 너무 많았던듯 합니다.
보기가 잘 기억이 안나는데 틀린것도 다수 있을 수 있으니 감안하고 봐주시기 바랍니다.
1. 홀딩스피드는 젭슨 에어웨이 메뉴얼 어디에 나오는가
atc, enroute, code
2. fuel dumping 관련 틀린것
보고받은 관제사가 3분마다 보고
해당 조종사는 덤핑할 내용 즉시 보고
해당 항로를 비행할 항공기 조종사는 즉시 고도 및 항로 변경
관제사는 special vfr 및 ifr 항공기를
해당 항공기 조언(조언이 아니라 분리를 해줘야한다)
3. altimeter setting 관련 틀린것
atc 최초 컨택시 관제사가 불러준다.
목적지 관제사가 아닐경우 안불러줘도 된다.
관제사는 해당 항공기 현 위치의 altimeter setting을 불러준다.
4. 용어와 내용이 틀린것
word twice -
correction -
negative -
5. lateral, vertical navigation 인가가 난것은
cleared bulls 1s, descent and maintain fl160
cleared bulls 1s, at pilot's descretion descent fl160,
descend via bulls 1s arrival
6. 게이트 접현시 마셜러가 팔을 수평으로 들어 가슴부분에서 손을 움켜쥐는건?
엔진꺼라
게이트 접현됐다
비컨꺼라
7. pre-taxi ifr clearance 관련 맞는것
택시 준비 완료후 10분 뒤에 딜리버리에 요청
딜리버리에 요청 하고 그라운드에 택시 인가를 받아 택시 하는 중에 클리어런스 받음
택시예상 시간 10분전 이내에 클리어런스 요청
8. abbreviated ifr clearance 관련 맞는것
vfr로 이륙후 공중에서 받는것
제출된 플랜이 변경시 조종사는 관제사에게 알릴 책임이 있다.
제출된 플랜이 변경시 관제사는 조종사에게 알릴 책임이 있다.
9. 픽스 진입시 최소 몇 분전에 비행인가를 통보..
5분
10. icao 기준 시계의 허용오차 (+-5초가 정답이나 5초보기가 없어 30초로 했다는…)
+-20, +-30, +-40, +-50
11. star 관련 맞는것
관제사가 필요할때 발부
조종사 요청시
우선 순위에 있을 때
50마일 이내에 있을 때
12. tdzl 관련 틀린 것
1800m 이하일 때 활주로 중간에 설치
13. 안테나로 부터 40nm 이내에 있을
때 최소 분리거리
3 nm
14. mandatory instruction signs 설명 중 맞는것
운항하는 항공기의 필요에 의해
지상 이동하는 차량및 항공기의 제한된 구역에 대한...
활주로 이탈하는 교차점에 설치
15. 의료관련 항공기가 최초 컨택시
medical*2
pan pan medical (정확하진 않으나 이것으로 추정)
pan pan*2 medical
pan pan*3 medical
16. minimum fuel 통보시 틀린내용
착륙우선권을 준다
17.atis의 제한 녹음시간
30초, 1분.....
18. 복잡한 공항에서 자동으로 방송하여 관제사의 업무로드를 줄이는 것은
atis,
19. 경보단계에 해당되지 않는것
보기가 긴데 족보에 나온 내용만 공부하시면 될 듯 합니다.
20. 요격기에 대해 거절 방법은
규칙적으로 on-off
21. 주간에, atc 수신만 가능할 시에
응답 방법은?
보조익을 흔든다
22. atc 기관이 아닌 곳에서 air to ground 로
관제허가를 내는 방법?
(atc cleared, atc advice, atc request세개가 하나의 보기 입니다.)
23. transponder는 언제 키는가
택시전, 이륙대기시, 이륙준비를 완료하고
라인업시?, sq code 받자마자
24. U로 시작하는 항로는?
고고도 항로(U항로는Upper route라고
설명하고있음), vor 항로, UHF 기밀(?)항로,
댓글 2
-
NEWwaVE
2013.04.02 23:27
-
하윤석
2013.04.16 00:57
교통통신 - 19번) AIP 일반 (GEN)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가.국가의 규정과 기준 나.표와 부호 다.업무별... 라.일반규칙과 규정
- 정답을 알 수가 없어서 http://ais.casa.go.kr 에 접속하였더니 e-AIP 를 볼 수 있었습니다. ( 다만 아직까지는 완전한 것이 아니라는 설명이 있어서 꺼림직하기는 합니다...) 그 곳에서 캡쳐한 화면은 첨부와 같습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라) 인것으로 사료 됩니다. 하지만..... 보기 다)가 정확히 무엇인지 몰라서 확신은 못하겠습니다.
복 받으실겁니다..!! 감사합니다~!!